팝업닫기
찾으시는 내용이 있으신가요?
사이트 내 전체검색
학사공지
Re: 교사임용고시, 공무원 교육학교재 중 적중율이 높은 교재 추천 좀?^^
Re: 교사임용고시, 공무원 교육학교재 중 적중율이 높은 교재 추천 좀?<br><br> <br><br>교사임용고시시험이나 교육행정직 시험을 위한 교육학 이론서로는 시중에  김영광교육학, 조화섭교육학, 구평회교육학, 탁영진교육학, 김정겸교육학, 전태련교육학, 우성수교육학, 김상겸교육학 책 등이 있는데요. 최근에는 김영광교육학을 가장 많이 봅니다<br>탁영진교육학은 주제별로 되어 있는 점이 장점이나 빠진 것이 많은 것이 특징이고<br>조화섭교육학 책은 목차별로 되어 좋으나, 주요한 것과 중요하지 않는 것이 구별을 표시되어 있지 않고, 최근의 출제경향을 반영하고 있지 않아서 적중율이 많이 떨어졌어요. 강의는 설명이 별로 없고 죽 읽고 줄만치는 것이 특징이고요. 항상 가래와 기침이 섞인 목소리로 듣기가 좀 거북한 점이 있고요. 아파서 쓰러지셔서 앞으로 강의를 못하신다고 합니다<br>한민석교육학 책은 옛날책은 내용이 자세하고 글씨가 자잘해서 공부하기 불편해서 신판으로 바뀌면서 글씨가 커졌으나 내용이 많이 빈약해졌어요. 강의는 단조로와 약간 졸리는 경향이 있어요<br>구평회교육학 책은 원래 대학교재를 요약하지 않고 원문 그대로 옮겨와 문장이 지나치게 길어서 공부하는데 질리는 점이 단점입니다. 강의와 교재에 오답이 많고 강의에 깊이가 없는 것이 특징이고요. <br>김정겸교육학 책은 중요한 기본적인 내용보다 지엽적인 내용이 많아서 지나치게 어려운점이 특징이고요<br>전태련교육학 책은 기본적인 내용은 잘 정리되어 있어 초보자에게는 접근하기 쉬우나 최근 출제경향을 반영하고 있지 못하고 있고, 강의가 교육사부분에 치우쳐 편중되어 있어 학교에서 공부를 좀한 사람에게는 도움이 안되는 점이 특징입니다<br><br>우성수교육학은 쉬운 내용만 담아서 접근하기 쉬운 장점이 있으나 어렵지만  중요한 내용은 빠져있는 특징이 있고요<br><br>박성현교육학은 기초적인 내용중심으로 강의하는데, 강의의 표현이 거칠고, 전라도 사투리가 강해 타 지역수험생들이 듣기가 좀 힘드는 것이 특징입니다<br><br>김상겸교육학 책은 부피가 작아 과거에 교육행정직 수험생이 많아 보았으나, 교육행정직 시험이 최근에 어렵게 출제되어, 이책으로 고득점이 힘들고 경쟁에 이길수 없어, 최근 합격자들의 대부분은 임용수험용 책 중 자세힌 것을 선택해 보고 있는 추세이고요.<br>김영광교육학 책은 자세하면서도 츨제가능성에 따라 색깔과 글씨체를 달리하고 분철되어 있고, 암기비결이 있어서 공부하기에 참 좋으나 비싼점이 단점입니다.<br><br> <br><br>교사임용시험이나 교육행정직 시험을 위한 교육학 문제집도 최근에는 김영광교육학 문제집을 가장 많이 봅니다.<br>조화섭교육학 책은 샘의 이론교재의 지문을 그대로 옮겨놓아 형성평가의 기능은 있으나, 시험의 출제경향과 좀 거리가 있는 문제들이 많고, <br>탁영진교육학의 문제는 지엽적이고 구석진 문제가 많아 어떤 문제는 지나치게 쉽고 어떤 문제는 지나치게 어려운 경향이 있고,<br>김정겸교육학과 한민석 교육학의 문제는 특정교과서의 지문을 요약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옮겨 놓아 지문이 지나치게 길고, 지엽적인 점이 특징입니다, <br>김영광교육학 문제집은 문제집이 수준별로 되어 있어 총문제수가 많은 것이 단점이지만 자신의 수준에 따라 교재를 선택해서 수준별 학습이 될 수 있고, 각 문제마다 출제가능성이 별표갯수로 표시되어 있어 시간이 없을 대는 별표5개와 4개인 문제만 풀수 있고, 시간 여유가 있을 때는 별표 3개,2개,1개인 문제도 선택해서 풀 수 있어 좋아요.<br><br>대부분 자신이 본책이 제일 좋다고 이야기하는데 ... <br>본인 서점에 가서 직접  비교해 보고 고르세요<br><br>수험서의 가치는 남다른 편집과 디자인뿐만 아니라 적중률이 높아야 합니다.<br>시중에 나온 책중에서 적중율이 가장 높은 교육학 교재는 김영광교육학 교재였어요. 그 다음은 한민석샘이고요. 나머지는 대부분 비슷해요. <br>작년 임용시험에 출제 되었던 벌로의 SMCR이론, 절대정화구역 등은 김영광교육학책에만 있었습니다. <br>올해 임용시험에서도 지눌의 정혜사상, 표준오차, 인식론 존재론 가치론, 장학개념변천순서(관리장학->협동장학->수업장학->발달장학)는 김영광교육학책에만 있는 내용입니다.(다른 교수님책을 가지고 계신분은 있는지 직접 한번 찾아서 확인해 보세요)<br><br><br>나머지 대부분 공통적인 내용은 어느 교수님책이나 다 나옵니다. <br><br>하지만 교사임용고시시험처럼 0.1점 차이로 당락이 결정되는 시험에서 한 두 문제의 차이는 합격의 당락을 결정하게 되며,  님을  재수생, 삼수생으로 만들기도 해요.<br>올해 교사임용고시시험에서 다른 샘 수강생들의 교육학성적 평균보다 김영광교육학 수강생들의 평균은 3점정도 더 높았고, 다른 학원샘들은 평균 합격률은 10% 정도인데 김영광교육학의 수강생의 합격률은 78.3% 였습니다.<br><br> <br><br>후회없는 선택을 위해서는 가까운 대형서점(교보문고, 영풍문고, 반디앤루니스서점 등)에  가셔서 <br>직접 여러 교수님의 책을 비교해 보시고 선택하세요.<br><br>강의는 한번 듣지만 교재는 여러번 봐야하고 시험장까지 가지고 가는 것이니까 강의보다 교재가 어느샘것이 좋으냐에 비중을 더 두어 선택하는 것이 더 합리적인 방법입니다. <br><br>합격한 선배들의 일반적 평가는 학원강의는 어느샘이나 큰 차이가 없어 아무샘것 들어나 큰 차이는 없으나 교재는 꼭 김영광교육학 것을 한번 보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. 반드시 김영광교육학교재를 사야 필요까지는 없더라도, 시험치러가기 전에 친구에게 빌리거나 꼭 서점에 가서 김영광교육학책을 훑어보고 자기가 가진 책에서 없는 내용은 메모해서 유심히 보라고 합니다. 김영광교육학책에만 있는 내용 중에서 변별도차원에서 한두문제가  꼭 시험에 나온다고 합니다. <br><br>저도 처음 공부할 때는 정보에 눈이 어두워 어떤 교육학 샘이 있는지도 몰랐고, 뭐가 뭔지 몰라서 그냥 학교게시판과 화장실에 붙은 학원광고 보고, 구평회교육학과 탁영진교육학 것 들었는데, 시험에 떨어지고 재수하면서는 친구들이 김영광교육학것 들어라는데도 거부하고 큰학원의 오래된 샘이 좋으리라는 막연한 고집으로  조화섭교육학것과 김정겸교육학것 들었고요, 삼수하면서 김영광교육학것 들었는데, 좀더 일찍 김영광교육학 강의를 들었었다면 재수,삼수하지는 않았을텐데, 후회가 되요.<br><br> <br><br>학원강의에 대해서는 <br>탁영진교육학, 구평회교육학, 조화섭교육학,전태련교육학 등  나이 많은 샘들보다 김영광교육학이나 김현 교육학 등 젊은 샘님들의 강의를 추천해요, <br>다른 샘 동영상강의 공개강의는 1시간정도만 열려있는데 김영광교육학 강의는 처음인 교육의 기초부터 마지막인 교사론까지 전부 공개되어 공짜로 볼 수 있어요. 그만큼 교육학실력에 대해 자신이 있다는 증거가 아니겠어요. 교사임용고시시험카페<김영광교육학> http://cafe.daum.net/freeedu) 동영상자료실에 가면 무료로 볼 수 있어요<br>대학에서도 마찬가지로 나이 많은 교수님들은  수업도 대충 기본적인 내용만 가르치고 깊은 내용은 가르치지 않아 최신의 임용시험의 출제경향을 따라가지 못하는 경향이 있어요.<br>그래서 예전에 유명하던 이런 나이많은 샘들의 강의가 적중율이 떨어지는 이유가 여기에 있어요.<br> <br>다른 샘들의 강의는 한종류 수준 밖에 없어서 <br>중간정도의 학생의 수준에 맞추다보니<br>처음 듣는 사람은 제대로 이해하기 힘들고, 재수생이나 공부가 많이 된 사람은 재미가 없어서 <br>효율적인 공부가 되지 않는데, <br> <br>김영광교육학은 수준별 수업으로 <br>임용고시를 처음 공부를 하는 사람을 위한 초급반(기초반),<br>재수생을 위한 중급반(기본반),<br>고득점을 목표로 하는 고급반(심화반)으로 <br>각각 다른 수준의 강의가 있어요.<br> <br>자신의 수준에 맞는 강의를 골라 들을 수 있어요.<br> <br>초급반은 교육학이란 나무의 기둥을 세우는 과정이고<br>중급반은 나무에 가지를 만드는 과정이고<br>고급반은 가지에 잎이나 열매을 만드는 과정으로 비유할 수 있어요.<br>셋중에 하나를 선택해서 듣는다면  <br>나무나 건물의 기둥을 세우는 기초반을 추천합니다.<br> <br>기초반을 듣지 않으면 <br>나중에 교육학책을 읽어도 그 이야기가 그 이야기 같아서<br>교육학의 체계나 흐름을 파악할 수 없어요.<br>발견학습, 탐구학습, 문제해결학습, 자기주도학습, 구안법, 구성주의학습 등 그게 그건 같아서 나중에는 공부하면 할수록 더 헷갈려요.<br>교육철학에서도 현상학, 해석학, 포스트모던, 실존주의 등 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종잡을 수가 없어요.<br>다른 강의는 듣지 않더라도 김영광교육학 기초반은 꼭 듣기를 추천합니다.<br><br>김영광교육학 수강생모임 카페 http://cafe.daum.net/freeedu (회원수 9만6천명)<br>조화섭교육학 수강샘모임 카페 http://cafe.daum.net/chowhasup (회원수 5천명)<br>구평회교육학 수강생들 카페 http://cafe.daum.net/kuph (회원수 1천명)<br>탁영진교육학 수강생모임 카페 http://cafe.daum.net/takyj (회원수 3백명)<br>곽내영교융학 수강생모임 카페 http://cafe.daum.net/realperson (휴면)<br>한민석교육학 수강생모임 카페 http://cafe.daum.net/Hpedagogy (휴면)<br>김정겸교육학 카페 http://cafe.daum.net/kjgedu (회원수 3천명)<br>박성현교육학 카페 http://cafe.daum.net/edupsh (회원수 6천명)<br>유길준교육학 카페 http://cafe.daum.net/juneducation (회원수 2천명)<br>이준호교육학 카페 http://cafe.daum.net/goedu30 (회원수 8백명)<br>김지원교육학 카페 http://cafe.daum.net/victory89 (회원수 1만5천명)<br>김현교육학 카페 http://cafe.daum.net/16education (회원수 4천명)<br>김철진교육학 카페 http://cafe.daum.net/tlacjfwls67 (회원수 3백명)<br>권영성교육학 카페 http://cafe.daum.net/4edukys  (회원수 4천명)<br>이인재교육학 카페 http://cafe.daum.net/injaeped (회원수 3천명)<br>이웅교육학 카페 http://cafe.daum.net/ewoong (회원수 2천명)<br>한점숙교육학 카페 http://cafe.daum.net/hanedu1 (회원수 천명)<br>주성태교육학 카페 http://cafe.daum.net/jusungpedagogy (회원수 3천명)<br>최병옥교육학 카페 http://cafe.daum.net/okteaching (회원수 8백명)<br>이경범교육학 카페 http://cafe.daum.net/eduism (회원수 3천명)<br>박연채교육학 카페 http://cafe.daum.net/pycedupass  (회원수 5백명)<br>김인식교육학 카페 http://cafe.daum.net/socksock  (회원수 4백명)<br>김민석교육학 카페 http://cafe.daum.net/kmsedu  (회원수 1백명)<br>김윤신교육학 카페 http://cafe.daum.net/edukimyoung (회원수 2백명)<br><br>전태련교육학 카페  http://cafe.daum.net/jtr1004 (회원수 8천명)<br><br><br>우성수교육학 카페 휴면<br><br>이이수교육학 카페 휴면<br><br>임세규교육학 카페 휴면<br><br>김상겸교육학 카페 휴면<br><br>오현준교육학 카페 휴면<br><br>박의산교육학 카페 휴면<br>`
최고관리자2010. 7. 1조회수2,871
0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